어린 시절 겪었던 강압
만약 할 일에 바로 시작하지 못하고 계획만 한다면, 처음에는 열정적이다가 결국 백일몽으로 끝내 버리고 만다면, 이것은 부모의 강압적인 지시에 반항하던 행동 패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등교 준비, 숙제... 부모님이 잔소리를 해야 시작합니다. 그로 인해 부모-자녀 관계가 심각하게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증상
현대인의 문제점은 만성적인 피로와 매일매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무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부시간에 공상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뚜렷한 이유가 없는 데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면 그것은 아마도 지난날에 겪은 강압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뜻일 것입니다. 신체는 성인이 되었으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부모상은 아직도 자신을 어린아이로 생각하며 강박적으로 채근합니다. 물론 이런 현상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전혀 인식할 수 없습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내적 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외적인 강압은 자신을 무기력하게 만듭니다. 누구나 학창 시절 비슷한 경험을 했을 것입니다. 오랜만에 공부를 하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그 순간 엄마가 "공부도 안 하고 뭐 하니!"라고 말하면 내적 동기가 뚝 떨어지고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싹 달아나버립니다.
2. 심리
자기가 해야 할 일을 달성하지 못하고 스스로를 자책하고 '내일 꼭 해야 할 일들'을 적어보지만 작심삼일로 끝냅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자존감에 상처를 받고 자신을 무가치하게 느끼게 됩니다. 매사에 늑장을 부리고 계속해서 공상의 나래나 펴면서 자신의 문제에 대해 책임회피적인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자기변명으로 순간을 모면하려고 하며 남 탓에 거짓말까지 능숙하게 합니다. 도덕성이 무너지고 무책임한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3. 원인
실천력이 떨어지고 생각에만 빠져있는 사람들은 어린 시절의 가정환경을 회상해 보면 그 실마리가 풀리게 됩니다. 어린아이는 부모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부모의 강압적인 태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이런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부모는 대부분 불안과 짜증이 섞이고 위협적인 목소리로 계속해서 이것저것을 지시하고, 명령하고 확인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늦었다. 당장 일어나서 학교 가라.... 양치질하는 것을 잊지 마라.... 서둘러라 아침밥 식겠다.... 숙제는 다 했니?, 학교에 늦었다. 잠바를 입고 가라.... 책가방도 메고!" 일반적으로 우유부단한 사람들은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비슷한 잔소리를 매일 들어왔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채근은 부모로서 충분히 할 만한 잔소리라고 생각되고 강압적인 양육방법을 통해 자녀들의 심리 발달이라는 정원을 성심성의껏 손질하고 바른 태도를 기르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착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성장과정에서 아이들은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많고 그 과정을 통해 자기의 고유하고 특별한 개성과 운명을 개척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4. 결과
어린 시절의 가정 분위기가 강압적이었다면 자녀들은 극심한 강압에 핑계를 대고 지연 작전으로 대처했을 것입니다. 강압을 받는 사람은 적극적인 반항이나 도전을 하게 됩니다. 그러한 태도에는 처벌이 뒤따르게 마련이므로, 결국에는 힘이 약한 자녀는 소극적인 형태로 반항하게 됩니다. 부모의 지시에 겉으로는 순응하는 체하면서 사실은 자기의 흥미를 끄는 일에 계속해서 매달렸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예, 곧 갑니다."라고 대답하고서도 여전히 자기 일을 계속했던 행동은 흔한 경우입니다.
1) 반항의 방법
-순응
순응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은 성장함에 따라 교사나 고용주에 대해서도 아무런 이의도 제기하지 않고 통제적인 지시를 받는 사람으로 변합니다. 실제로 그는 지시를 받지 않으면 허전함을 느끼게 됩니다. 주도권을 잡고 일을 해나갈 수 없으며 자신의 뜻대로 행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책임이 따르는 일을 맡게 되면 편안하지 못하고 심지어 불안에 떨기까지 합니다.
-적극적인 반항
이런 경우는 성인이 되어서도 소아기 때 느꼈을 분노로 인해 울적한 감정을 드러냅니다. 그는 적극적으로 지시에 반대하고 나서며, 때로는 권위를 가진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시비조로'나오기도 합니다. 거의 습관적으로 조언이나 명령에 완강하게 부딪치며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러나 만일 그런 사람에게 아주 최소한의 원칙만 제시하면서 스스로 주도권을 잡고서 밀고 나가라고 허락해 준다면, 그는 일을 훌륭하게 처리해낼 것이며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소극적인 반항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 계획과 공상에만 치중합니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만 시간을 끌고 실행에 옮기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런저런 핑계로 합리화하는 방법을 택하거나 회피 반응을 보입니다. 소극적인 반항의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반복해서 좌절하고 자신을 무가치하게 여기며 우울한 기분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해결
생산성이란 인간의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생산적인 존재이며, 무위도식은 우리에게 해가 됩니다. 무위도식은 성인으로서 자존감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칩니다. 그는 자기의 목표 달성을 진심으로 열망하고 있지만 자기를 게으르면 무가치한 아이로 바라보던 부모의 비난 소리를 기억하면서 반항을 시작합니다. 이것은 이로울 것이 하나도 없으며, 그의 비생산적 성향의 해결에도 아무런 보탬이 되지 못합니다. 만일 당신이 이런 악순환을 끊고 싶다면 이제 더 이상 부모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어린아이가 아님을 깨닫는다면 무의식적인 반항은 점차 사라질 것이고 자신감과 성실성이 신장될 것입니다. 그리고 계획표만 작성하는 습관을 버리고 바로 실천으로 옮긴다면 당신의 반항은 점차 사라지고 성공적인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마음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건강에 염려가 심하다면-건강염려증- (2) | 2022.12.14 |
---|---|
세상이 지루하고 모든 일에 열의가 없다면-무기력증- (0) | 2022.12.14 |
금쪽같은 내새끼는 바로 나자신 (0) | 2022.12.09 |
이해할 수 없는 내 감정-정체성 혼란- (0) | 2022.12.09 |
당신이 더 잘하려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완벽주의' (2) | 2022.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