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들은 미술로 이야기합니다. 

 

아이가 집을 그리는 모양으로 심리를 알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내 마음이 이래요. 이렇게 힘들어요.'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그림으로 나타낼 때 자신의 내면을 훨씬 잘 표현합니다. 집 그림 속에 굴뚝이 나타내는 아이의 심리는 어떠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림에서 굴뚝이 갖는 의미

굴뚝은 집에서 난로를 피웠을 때 연기가 나오는 곳입니다. 난로는 가족들이 함께 모여 불을 쬐거나 요리를 하는 것과 같이 온정적인 일들과 관련된 물건입니다. 이런 굴뚝의 특성으로 가족 분위기, 가족들 간의 애정과 교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굴뚝의 연기는 아이의 애정욕구, 애정욕구와 관련된 좌절감, 상실감, 우울감 등을 표현합니다. 그러나 문화적인 특성상 외국의 경우에는 집에 굴뚝, 벽난로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우리나라는 아파트, 주택 문화로 굴뚝이 없는 가옥에서 주로 거주합니다. 우리나라 아이들이 보는 굴뚝은 동화책이나 만화에서 보고 자신의 심리를 투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굴뚝 그림 해석

 

1)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그림

여러 논문에 따르면 적당한 양의 연기가 나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아이의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와 같이 해석한다면 굴뚝에서 연기를 그렸다는 것은 가정 내 불화나 가족 간의 정서적인 긴장감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옥 특성상 굴뚝을 사용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아이들에게 심리분석을 위해 '집'을 그리게 할 때 '굴뚝'을 그리라는 언급을 따로 하지는 않습니다. 'A4용지에 그리고 싶은 집을 그리세요'라고 제시했을 때 굴뚝에 연기를 그렸다는 것은 심리해석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굴뚝에 연하게 피어오르는 연기는 가족 간의 긴장감, 불화를 나타내지만 연기의 색이 진하고 양이 많다면 이는 애정이나 따뜻함에 대한 과도한 욕구와 관심, 그 기저의 좌절감이나 결핍감을 나타내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아이가 굴뚝에 연기를 그렸다고 해서 획일적으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전문가에 의해 아이의 행동, 다른 심리 검사, 부모와의 면담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2) 굴뚝을 그리지 않는 경우

외국 아동의 그림이라면, 이는 따뜻한 가족관계를 맺는 데 대한 양가감정, 회피, 불편함 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서양 아이들은 굴뚝이 있는 모습을 많이 접했고 굴뚝 청소부라는 직업도 있습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굴뚝을 그리지 않았다는 것은 가족과 애정을 나누며 사랑받고 싶은 마음은 크지만 번번이 욕구가 좌절된 심리적인 상처를 나타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의 그림을 분석할 때 서양에서 굴뚝이 갖는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우는 문화적인 차이로 그리지 않는 아동이 훨씬 많기 때문에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즉, 아이가 집 그림을 그릴 때 굴뚝을 그리지 않았다고 해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다른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는 것이 아이의 심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간혹 굴뚝을 그리지 않은 것과 굴뚝에 피어오르는 진한 연기를 그린 경우가 비슷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한 연기를 표현한 경우는 애정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관심이 좌절된 마음, 굴뚝을 그리지 않는 경우는 정상적인 애정욕구가 좌절된 상황을 나타냈다고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3) 굴뚝에 벽돌 무늬를 그려 넣는 경우 

굴뚝을 기다란 원통모양으로 그리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벽돌모양이나 무늬를 꾸미는 아동이 있습니다. 굴뚝에 약간의 모양을 넣었다는 것은 의미 있게 해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너무 자세한 무늬, 똑같은 모양의 벽돌 들을 꼼꼼하게 그려 넣은 경우는 아이의 강박적인 성향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가족 간의 따뜻한 교류와 상호작용, 애정 교화에 대해 강박적으로 집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4) 굴뚝의 크기가 큰 경우

굴뚝은 외부 세계와의 소통의 채널을 표현합니다. 아이의 그림을 파악할 때 가장 중요시되는 것이 균형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림이 균형 잡혀 있다면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집에 비해 너무 큰 굴뚝을 그렸다면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외부와의 소통을 원하는 경우, 창조력, 가정에 대한 관심, 에너지가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아동상담에서 아이가 사람이나 집, 나무를 그린 것을 보고 심리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합니다. 가장 간단한 그림 검사인 HTP검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그의 제자 벅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또 아이에게 친밀한 집, 나무, 사람이라는 주제는 어떤 아이들이라고 그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그림의 한 부분만 보고 단편적으로 심리를 해석하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그림에 나타난 상징만으로는 아이의 마음을 모두 알 수 없습니다. 이는 마치 장님이 코끼리 한 부분을 만지고 전체 모습을 상상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 그림을 너무 주관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아이와 함께 한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아이의 그림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아동상담 전문가를 찾아 아이의 행동, 다른 심리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